 |
재해는 언제 발생할지 모릅니다. 만일의 경우에 곤란하지 않도록 가족 모두가 재해 시의 역할 분담을 결정하거나 대피장소의 확인 등을 서로 이야기해 둡시다.
|
 |
재해는 언제 발생할지 모릅니다. 만일의 경우에 곤란하지 않도록 가족 모두가 재해 시의 역할 분담을 결정하거나 대피장소의 확인 등을 서로 이야기해 둡시다.
|
 |
 |
 |
 |
 |
-
집 안에서 가장 안전한 곳과 위험한 곳을 확인해 둘 것
-
대피장소(일시집합소, 광역대피장소)의 위치를 확인해 둘 것
-
최단거리보다 안전한 대피경로를 생각해 둘 것
-
넓은 광역대피장소에서는 가족만의 집합장소를 결정해 둘 것
-
가족끼리 연락할 방법을 생각해 둘 것
-
평상시에 화기구의 점검과 집의 보수, 실내를 정돈할 것
-
비상시에 들고 나갈 물건으로 무엇을 준비할지 생각해 둘 것
-
소화기와 구급상자, 비상용품을 비치해 둔 곳을 확인할 것
-
방재훈련 등에 적극적으로 참가할 것
|
 |
 |
 |
 |
 |
 |
재해발생 시 또는 비상시에 들고 나갈 물건을 가족구성에 맞춰 필요한 것만 최소한으로 캠핑용 가방 등에 넣어 어깨에 한번 메어 봅시다.
남성은 15kg, 여성은 10kg 정도로 양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지 확인해 봅시다.
또한 재해발생 후 생활을 이어나가기 위해 1인당 3일분을 기준으로 식료품, 물, 생활용품 등의 비축품을 준비해 둡시다. 물은 1인당 하루에 3리터를 기준으로 장기간 보존 가능한 물을 가족구성에 맞춰 준비해 둡시다.
|
 |
 |
 |
 |
 |
 |
귀중품(현금 · 통장 · 인감 · 권리증 등), 음료수, 식료품, 손전등, 건전지, 라디오, 성냥, 라이터, 양초, 구급약품, 의류, 신발, 방재 두건, 헬멧, 방진 마스크, 목장갑, 수건, 통조림 따개, 비닐봉지, 화장지, 칫솔치약세트
|
|
 |
 |
 |
 |
 |
 |
 |
 |
 |
 |
 |
물, 즉석 조리식품, 각종 통조림, 알파화미(말린 밥), 건빵, 목캔디, 과자류, 나무젓가락, 스푼, 휴대용 가스레인지, 일회용 손난로, 휴대용 간이 화장실 등
|
|
 |
 |
 |
 |
 |
 |
|
다친 데 없어?
괜찮아요~
|
다친 데 없어?
괜찮아요~
|
|
‘171’을 눌러 이용 안내에 따라 메시지의 녹음 · 재생을 실시해 주십시오. 서비스 제공 개시와 녹음 건수 등 제공 조건은 NTT에서 결정하여 TV · 라디오 등으로 알려 드립니다.
|
 |
 |
 |
 |
 |
171을 누른다
▼
녹음의 경우 ‘1’
▼ (xxx)xxx-xxxx |
|
 |
 |
 |
 |
 |
 |
 |
 |
 |
 |
 |
171을 누른다
▼
재생의 경우 ‘2’
▼ (xxx)xxx-xxxx |
|
 |
 |
 |
 |
 |
 |
|
(xxx)xxx-xxxx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눌러 주십시오.
피해지역 내에 계신 분도 피해지역 외에 계신 분도 피해지역의 전화번호를 시외국번부터 눌러 주십시오.
|
|